본 커뮤니티의 모든 내용은 대중에게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적인 뷰이며 투자에 대한 조언이 아닌 전반적인 미국의 시장, VC, 스타트업, 기술 트렌드와 그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들입니다.
유튜브, 링드인, 인스타그램, 스레드, 줌/커피챗신청 등 다른 다양한 채널들을 보고 싶으시다면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컴퓨터에서 오른쪽에 “Social” 을 찾아봐주세요!
제가 화요일에 보낸 글을 다들 너무 좋아해주셔서 잠깐 공유드립니다. 글로벌을 타겟하시는 VC, 창업자, 그리고 정상적인 직장인 여러분들께도 도움이 되는 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구글 찬양 글도 지겹다…
안녕하세요 이안입니다. 죄송하지만 아래 구글 찬양글을 쓴지 2주만에 또 구글 찬양글을 가지고 왔습니다. 모두가 기대했던 Gemini 3 발표에 대해서 정확도보다 속보라는 의미에서 빠르고 간단하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여태까지 이전 찬양글에서 다뤘던 부분은 아래 스크린 샷으로 대신하고 제미나이 3 발표에서 추가된 부분중 가장 중요한 3가지만 아래에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벤치마크
ARC-AGI-2: 코드 실행포함해 ARC Prize Verified 인증을 받은 조건에서 45.1%를 기록함.
x축은 비용, y축은 성능으로 가장 오른쪽 위에 있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Gemini Deep Think가 OpenAI o3 다음으로 가장 비싼 가격이지만 다른 모델들에 대비해 비교도 안될만큼 미쳐버린(positive) 성능을 보여줌.
중간의 원 Gemini 3 pro의 경우는 그 아래 OpenAI나 Anthropic 모델들에 비해 여전히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줌에도 불구 오히려 더 저렴하거나 비슷한 비용을 보여주고 있음.
Humanity’s Last Exam: 특히 이 점수는 “외부 도구 사용 없이” 달성했다는 점이 강조. 외부 검색이나 계산기 없이 순수 추론만으로 인간 전문가 수준의 난제를 40% 이상 해결했다는 것은 모델의 내재화된 지식과 논리력이 비약적으로 상승했음을 보여줌.
GPQA Diamond: 박사급 과학 질문에 대해 90%를 상회하는 정답률을 기록하며, 전문 지식 영역에서는 사실상 인간 전문가를 넘어섰음을 시사.
그냥 전체적으로 OpenAI와 Anthropic을 모든면에서 큰 차이로 압도해버림.
물론 그렇다고 게임이 끝난건 아님.
어차피 다음 회사가 더 좋은 벤치마크를 가지고 나올거고.
벤치마크와 실사용은 분명 갭이 있을 것이며.
벤치마크의 차이는 점점 미미해지고 결국 모델 성능은 수렴할 것이기때문.
샘과 일론도 Gemini 3를 축하하는 모습을 보여줌ㅋㅋㅋ그럼그럼 인정할건 인정해야지.
2. TPU
구글, Gemini를 자체 TPU로 구동하며 AI 하드웨어 독립: 구글이 Gemini 모델을 자사 TPU(v4, v5e, Ironwood) 칩으로 학습·배포 Nvidia 의존 없는 AI 인프라 구축에 성공.
특히 7세대 TPU가 특정 워크로드에서 Nvidia 시스템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이며,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TPU만으로 완전한 end-to-end 실행이 가능
이를 통해 Gemini 3는 더욱 최적화된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
수직 통합의 강력한 시너지 효과: 구글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수직 통합 전략의 성과.
TPU에 최적화된 Gemini 아키텍처는 더 빠르고 저렴하며 효율적인 AI 서비스 제공.
다른 인공지능 모델 회사들과의 가격 경쟁에서 아주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생각.
AI 칩 시장의 경쟁 심화 구도: 구글의 성공은 메타, 아마존, 애플 등 다른 빅테크들의 커스텀 칩 투자를 가속화시킬 것.
전체 AI 생태계의 혁신과 비용 하락 및 Nvidia의 독점이 깨지면서 AI 스타트업들도 더 다양하고 저렴한 인프라 옵션을 갖게 될 것.
다만 마진은 당신의 인공지능 스타트업만 좋아지는게 아니라 모든 스타트업이 좋아질테니 인공지능 프로덕트들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어 마진은 여전히 회복하기 어려울 것 (이 부분에 대해서 뭐 뉴노멀이니 아니니하는데, 글을 쓰고 있는중).
오늘 엔비디아 어닝이 잘나오긴 했는데…TPU의 성장이 마이클버리의 CAPEX이론에 좀 더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인공지능 반도체 6년동안이나 쓴다는건 너무 길다”).
3. Antigravity
AI 에이전트: Google Antigravity는 단순한 AI 코드 어시스턴트가 아니라, 인간 개발자가 매니저가 되어 여러 AI 에이전트를 감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 (최근 인수한 windsurf팀이 깊게 관여한 것으로 알려짐).
Antigravity는 마이크로소프트의 VS Code기반으로 제작, VS code wrapper라는 비난을 받고있지만 개인적으로 오히려 그 부분이 익숙함이라는 강점이 될수있다고 생각.
매니저 뷰: Antigravity를 실행하면 전통적인 파일 탐색기 대신 ‘매니저 뷰’가 나타나고 구글은 이를 ”미션 컨트롤”이라고 부름.
여기서 개발자는 여러 명의 에이전트에게 동시에 서로 다른 작업(예: 백엔드 리팩토링, 프론트엔드 CSS 수정, 테스트 코드 작성)을 지시하고 그 상태를 한눈에 파악 가능.
아티팩트 : 에이전트는 작업을 수행하며 ‘아티팩트’를 생성합니다. 이는 작업 목록, 구현 계획서, 실행된 스크린샷, 브라우저 녹화 영상 등을 포함하는 마크다운 문서.
개발자는 코드를 일일이 확인하는 대신 이 아티팩트를 통해 에이전트의 작업물을 검증함
주실밸 웹사이트를 복사하라는 지시를 해보았더니 순식간에 해냈는데 재미있는 점은 직접 크롬을 열어서 현재 주실밸 웹사이트에 들어가서 이것저것 클릭해보는 모습이었음.
경쟁사 모델 지원: 이례적으로 Antigravity 내에서 경쟁사의 최신 모델들을 별도의 복잡한 설정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Gemini 3 Pro, Claude Sonnet 4.5, GPT-OSS).
이는 “모든 작업에 Gemini가 정답은 아니다”라는 개발자들의 현실적인 피드백을 수용한 결과 알려졌고, 개인적으로 이게 제일 무서운 부분이라고 생각함.
앞으로 최고의 모델을 계속 변하겠지만, antigravity는 변하지않고 계속 개발자들의 최고의 도구가 되길 바라는 생태계의 기반을 먹겠다는 야망이 보임.
Gemini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cursor를 때려잡겠다는 명확한 목표.
이미 유저들은 최강의 Claude Code를 Antigravity에서 사용중…
그래서 어쩌라고?
어차피 모델 성능은 수렴함; 결국은 비용과 사용자 경험의 싸움이 될 것.
Price war: 곧 벌어질 가격 전쟁
구글이 돈을 잃을 각오를 하고 가격을 천문학적으로 낮춰서 OpenAI와 Anthropic을 시장에서 몰아낸다면? 무엇보다 커서를 가격으로 후려쳐서 따라잡으려고 한다면?
TPU 추론 반도체와 GCP 구글 클라우드를 포함해 이미 vertically integrated된 구글을 OpenAI와 Anthropic이 외부펀딩을 받아가면서 따라갈 수 있을까?
우버가 이미 보여준 성공방정식으로 그들보다 압도적으로 돈이 많은 구글이 따라하지 않을 이유가 있을까?
사용자 경험
개인적으로 좋았던건 이 업데이트와 함께 구글 deep research도 업데이트 되었는데, 이제는 원하면 내 지메일과 구글드라이브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사용해서 딥리서치를 할수있음.
실제로 지메일 인박스에 들어있던 주실밸 뉴스레터 내용을 소스로 이용해 리포트를 작성해서 처음엔 “아니 내 주장이 벌써 이렇게 메인스트림이라고…?”하며 설렛음.
이렇듯 구글 생태계에 기반한 맥락의 이해와 동시에 가격 번들링(아래 글에서 정리)을 활용한다면 나를 가장 잘 이해하는 인공지능이 가장 저렴한 무시무시한 사용자 경험을 기대해도 좋다고 생각함.
지금은 못쓸 정도인 Google Sheet이나 Google Slide에서의 활용도도 기대가 됨
유튜브 대댓글이나 지메일에서의 인공지능은 이미 쓸만한 궤도에 올랐다고 생각함.
아직 승자를 가리긴 이르다: 근데 끝까지 가면…?
정말 좋은 방향성이고 많은 사람들이 흥분하고 있지만, 레딧과 해커뉴스를 돌아다녀보니 개발자들은 기대와 실망이 반반이었음.
나같은 비개발자들은 미션컨트롤에서 동시에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돌리며 익숙한 크롬을 스스로 사용하는걸보고 뽕에 취했지만 아직 찐개발자가 쓰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는 반응.
그래도 확실한건
모델 성능으로 눌러버렸고
생태계의 힘을 보여줬으며
플랫폼이 되고자하는 방향성을 명확히 보여줬음
그래서 아직은 구글이 1등이 아니지만, 결국 “끝까지가면 구글이 다 이겨”를 오늘도 생각함.
인공지능때문에 구글 검색이 망한다고 했지만, 결국 구글 검색은 무료 gemini와 Google AI 모드가 가장 많이 대체하고 있다는 썰도 있음.
오늘은 깊이 있는 분석보다 큰 줄기만 정리해봤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지적해주세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안 드림








![Screen Recording 2025-11-19 at 4.50.57 PM.mov [video-to-gif output image] Screen Recording 2025-11-19 at 4.50.57 PM.mov [video-to-gif output image]](https://substackcdn.com/image/fetch/$s_!PqpE!,w_1456,c_limit,f_auto,q_auto:good,fl_lossy/https%3A%2F%2Fsubstack-post-media.s3.amazonaws.com%2Fpublic%2Fimages%2Fec0e4a1f-3057-4feb-98d8-ef8ec53487af_800x515.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