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커뮤니티의 모든 내용은 대중에게 공개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개인적인 뷰이며 투자에 대한 조언이 아닌 전반적인 미국의 시장, VC, 스타트업, 기술 트렌드와 그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들입니다.
유튜브, 링드인, 인스타그램, 스레드, 줌/커피챗신청 등 다른 다양한 채널들을 보고 싶으시다면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컴퓨터에서 오른쪽에 “Social” 을 찾아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안입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던 K-뷰티 서바이벌 프로그램(“샤크탱크”느낌)인 아마존 넥스트셀러 1화가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습니다.
뷰티 브랜드 대표님들께서 VC 세 명에게 실시간으로 피칭을 하고, 피드백을 받고, 가상의 금액을 투자받는 서바이벌 포맷이라 생각보다 흥미롭습니다!
12시간 넘게 촬영했는데, 편집을 너무 재미있게 해주셔서 저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총 4화로 제작되었고 일주일에 한번씩 업로드 될 예정이니 한번씩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영상을 제 유튜브 채널에서 라이브로 같이 보면서 제가 더 설명해드리고 썰도 풀어드리면 좋을 것 같은데, 관심있으신 뷰티투자자분들이나 창업자분들은 아래 투표로 남겨주세요!
재미있게 봐주시고 피드백 있으시면 카톡방이나 이메일로 보내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안 드림
아래 내용은 구글 노트북 LM의 요약입니다.
주신 자료는 아마존에서 차세대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하기 위한 서바이벌 프로그램인 “아마존 넥스트 셀러” 1화의 내용입니다. 이 프로그램에는 200개 브랜드가 도전했으며, 치열한 경쟁을 뚫고 살아남은 단 7개 브랜드만이 최종 무대에 섰습니다. 최종 투자금 총액 Top 3 브랜드만이 아마존의 글로벌 지원을 받게 됩니다. 심사위원(VC)으로는 박이안, 이세봄, 장기현 세 명이 참여했으며, 각 VC는 10억 원의 가상 투자금을 가지고 심사를 진행했습니다.
다음은 무대에 오른 두 브랜드에 대한 발표 내용과 VC들의 피드백, 그리고 투자 결과 요약입니다.
1. 네시 (NESHI)
주요 전략: 네시는 미국 시장에서 폭발적인 잠재력(성장률 28%)을 가진 K-헤어케어 시대를 열고자 합니다.
미국 시장 진입: 한국 소비자는 샴푸/트리트먼트 등 기본 제품으로 시작하지만, 미국 소비자는 헤어 오일이나 펌 같은 스페셜 케어 제품으로 신뢰를 쌓은 뒤 대중적인 제품으로 넘어가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에 네시는 첫 런칭 제품으로 K-팝 아이돌 스타일링을 완성할 수 있는 헤어 왁스와 듀얼 브러시 세트를 선택했습니다.
성과 및 목표: 오가닉 바이럴만으로 SNS에서 2,500만 뷰 이상을 기록하며 높은 바이럴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K-팝 스타일링에 관심 있는 미국 10대부터 공략할 예정입니다.
VC 피드백 및 우려:
VC들은 미국 시장의 인종 다양성을 고려한 제품 테스트(백인 모발, 흑인 베이비 헤어 등)를 확인했습니다.
가장 큰 우려는 B2B 유통부터 시작하는 전략이었습니다. VC들은 B2B를 먼저 시작하면 고객 이메일 주소나 직접적인 고객 피드백(보이스)을 얻기 어렵고, 초반 제품 파인 튜닝 시기에 정보가 부족해져 D2C로 확장할 기회가 줄어든다고 지적했습니다.
총 투자액: XX억 원을 유치했습니다. (한명의 VC는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2. 체리 XX (Cherry XX)
주요 전략 및 철학: 체리 XX는 뷰티를 단순한 소모품이 아닌 **’새로운 문화적 선언’**으로 정의하며, 뷰티가 다시 재미있어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제품 및 스토리: 첫 런칭 제품은 총알 모양의 립스틱입니다. 이 외관은 청춘의 힘든 여정(결핍)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단단한 레거시로 응원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성과: 지난 시즌 대비 매출이 4배 이상 성장했으며, 팔로워는 1.5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자석, 양각, 체리 향기 등 프로덕트 자체의 디테일과 높은 바이럴리티 가능성이 VC들에게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VC 피드백 및 우려:
발표 내용이 너무 철학적이고 감성적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총알 외관의 디자인은 신선하지만, 외형의 유행을 탈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제기되었고, 특히 총알 디자인과 브랜드 스토리 간의 연결고리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이 큰 고민이었습니다.
VC들은 총알 모양이 미국 시장의 총기 관련 문화적 민감성 때문에 광고 소재 승인이나 법적/문화적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고 강하게 지적했습니다. (창업자는 법적 규제를 확인했으며, 스토리를 담은 예술품으로 간주한다고 답했습니다).
총 투자액: XX억 원을 유치했습니다. VC들은 체리 XX를 비범함과 도전의 측면과 무모함과 불안정함의 측면을 모두 가진 브랜드로 평가했습니다.
두 브랜드의 피칭이 끝난 후, 최종적으로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한 브랜드가 아마존의 글로벌 지원을 받게 됩니다. 이 경쟁을 통해 체리 XX는 현재까지 총 투자액 1위를 기록했습니다.

